한국히트펌프얼라이언스 정기세미나: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히트펌프 기술의 비상

5월 24일, 서울 세텍 컨벤션센터는 차세대 히트펌프 정책과 기술 개발 동향을 논의하기 위해 모인 140여 명의 업계 관계자들의 열기로 가득했습니다. 한국히트펌프얼라이언스가 주최한 이번 정기세미나는 단순한 기술 교류의 장을 넘어,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구축하기 위한 히트펌프 기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자리였습니다.
히트펌프, 탄소 중립 시대의 핵심 기술로 부상
김민수 히트펌프얼라이언스 공동의장은 개회사를 통해 지구온난화 방지 및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히트펌프 전환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특히, 산업용 스팀 히트펌프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히트펌프 기술이 단순한 냉난방 시스템을 넘어 산업 전반의 탈탄소화를 이끌 핵심 기술임을 시사했습니다. 최준영 대한설비공학회 회장은 히트펌프얼라이언스의 눈부신 성장을 축하하며, 히트펌프 산업의 미래 방향을 공유하는 정보 교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했습니다.
글로벌 히트펌프 정책 동향과 국내 보급 확대 방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임현지 부연구위원은 건물 부문 난방 탈탄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글로벌 히트펌프 보급 동향과 정책 동향을 소개했습니다.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히트펌프 보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술 개발을 통해 온도 범위가 확대되고 건물 에너지 기준이 강화되는 등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국내 히트펌프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 제언으로는 신규 가스보일러 설치 금지, 건물 열에너지자립률 기준 도입, 히트펌프 보조금 지급 등을 제시하며, 국내 현실에 맞는 맞춤형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산업용 히트펌프 기술 개발 동향: 혁신과 도전의 연속
태화인더스트리 박용길 상무는 자연냉매(암모니아)를 적용한 산업용 히트펌프 개발 현황과 특장점을 소개하며, 산업 부문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히트펌프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센추리 조용훈 상무는 180℃급 고온 스팀 히트펌프 기술 개발 및 실증 계획을 발표하며, 산업용 보일러를 대체할 수 있는 고온 히트펌프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한국기계연구원 박창대 박사는 산업 분야 히트펌프 확대 적용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며, 태양열 히트펌프의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발표들은 산업용 히트펌프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히트펌프 R&D 트렌드 및 향후 방향: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협력의 필요성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이윤빈 효율향상PD는 히트펌프 R&D 트렌드와 향후 방향을 소개하며, 대용량·고온 열공급 시스템 및 친환경 냉매 기반 시스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더불어 글로벌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냉매 기술 및 에너지 통합 관리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
히트펌프얼라이언스 정기세미나의 의미와 미래
이번 세미나는 히트펌프 기술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히트펌프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특히, 산업용 히트펌프 기술 개발과 보급 확대는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히트펌프얼라이언스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정기세미나를 개최하여 히트펌프 산업 발전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히트펌프 기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한국히트펌프얼라이언스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선관리・품질유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제 경량, 컴팩트, 저가 밴드실러 (0) | 2016.08.16 |
---|---|
작업종료후 냉각운전이 필요없는 연속 접착실러(밴드실러) (0) | 2016.08.11 |
카트리지 방식 접착실러 (0) | 2016.08.11 |
미니 초음파 용착 접착기 (0) | 2016.08.11 |
두께가 두꺼운 제품에 적합한 접착기(밴드실러) (0) | 2016.08.11 |